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무소취재
- 후목 불가조야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 자왈 부지야
- 종아자 기유여
- 언지래자불여금야
- 후생가외
- 금오어인야
- 청기언이관기행
- 자왈도불행
- 승부부우해
- 문일지십
- 옹야가사남면
- 맹무백문 자로인호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남면하다
- 유야 호용과아
- 시오어인야
- 재여주침
- 청기언이신기행
- 자로문지희
- 옹야01
- 문일이지십
- 거경이행간
- 06옹야02
- 분토지장불가오야
- 옹야
- 가위효의
- 중궁문자상백자
- 하감망화
- Today
- Total
논어 백독
<02爲政05>孝之無違효지무위 본문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樊遲御, 子告之曰: “孟孫, 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祭之以禮.”
(맹무자문효, 자왈:“무위”. 번지어, 자고지왈: “맹손, 문효어아, 아대왈: 무위. 번지왈: 하위야? 자왈: 생사지이례, 사장지이례, 제지이례.)
*
ㅇ孟懿子問孝,子曰:無違(맹의자문효,자왈:무위); 맹의자가 효를 묻자, 공자께서 “어김이 없어야 한다.”고 답하셨다.
-孟懿子맹의자: 노나라의 대부, 성은 중손(仲孫), 이름은 하기(何忌). 懿의는 諡號시호. 仲孫氏 중손씨를 孟孫氏맹손씨로 바꿔 부르기도 함. 당시 魯노 나라에는 孟孫맹손, 叔孫숙손, 季孫계손의 3대부가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세습대부로, 임금의 동족으로 三桓삼환이라 했다. 권새를 믿고 분수을 예사로 넘침. 그의 아버지 맹희자가 임종 때 그로 하여금 공자에게 예를 배우도록 했다. 懿의; 아름두울 의, 좋다, 훌륭하다, 기리다, 칭찬하다, 깊다. 懿德의덕, 懿行의행, 懿望
-無違(무위): 어기지 않다. 無=不(例: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 01學而11)
-살아계실 때부터 돌아가신 후까지 예에 어긋나지 않도록 모시는 것이 효라는 것이다. 유가에서는 예를 사람사이의 약속이 아니라 자연의 이치를 인간에 적용하므로, 예에 어긋나지 않는 것은 자연의 이치대로 부모를 모시는 것이다.
-부모를 섬김에 예로써 한결같게, 구차하지 않게 함. 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는 것과, 할 수 없는데도 하는 것 모두 불효이다.(호씨)
ㅇ樊遲御,子告之曰번지어,자고지왈; 번지가 수레를 몰고 있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樊遲번지: 공자보다 36세 연하인 제자, 성은 번, 이름은 須. 자는 자지(子遲)이다. 농사일을 좋아하여 공자에게 욕을 먹은 적이 있다 함.
;樊(울타리 울, 에워쌀 번)
;遲(늦을 지, 더딜 지); 遲刻지각, 遲參지참, 遲滯지체, 遲延지연, 遲遲不進지지부진, 遲速緩急지속완급, 陵遲處斬능지처참
-御어; 부릴/거느릴/모실/말몰/어거할 어, 御車어거, 幸御행어
(마부가 되어) 수레를 부리는(모는) 것, 모신다로 새기기도 함
(임금 어)御名, 御筆어필, 御畫어화, 御酒어주, 御前어전, 御駕어가(수레), 御用어용, 崩御붕어(=昇遐승하), 暗行御史암행어사
ㅇ孟孫,問孝於我,我對曰:無違맹손,문효어아,아대왈:무위; “맹손씨가 나에게 효를 묻기에 내가 어김이 없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孟孫맹손: 맹의자, 성은 仲孫(중손). 庶系서계로 하면 孟孫맹손임.
ㅇ樊遲曰:何謂也번지왈하위야; 번지가 “무슨 말씀입니까?” 하고 묻자
-何謂也하위야: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也야: 의문어기조사
ㅇ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生事之以禮생사지이례; 살아계실 적에는 예로 섬기고,
ㅇ死葬之以禮사장지이례; 돌아가시면 예로 장사를 지내고
ㅇ祭之以禮제지이례; 제사를 예로 지내는 것이다.
-禮예;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안는 中正중정의 도리. 사람의 삶을 영위하는 根幹근간. 자기 분수에 할 수 있는 것을 함
'02위정爲政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爲政07>孝之養敬효지양경 (0) | 2012.05.31 |
---|---|
<02爲政06>父母唯其疾之憂부모유기질지우 (0) | 2012.05.31 |
<02爲政04>七十而從心所欲칠십이종심소욕 (0) | 2012.05.31 |
<02爲政02>詩思無邪시사무사 (0) | 2012.05.31 |
<02爲政01>爲政以德위정이덕 (0) | 201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