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일지십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승부부우해
- 유야 호용과아
- 하감망화
- 06옹야02
- 거경이행간
- 금오어인야
- 청기언이관기행
- 옹야가사남면
- 종아자 기유여
- 중궁문자상백자
- 가위효의
- 분토지장불가오야
- 청기언이신기행
- 자왈 부지야
- 맹무백문 자로인호
- 자왈도불행
- 문일이지십
- 남면하다
- 옹야
- 후생가외
- 언지래자불여금야
- 시오어인야
- 무소취재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 후목 불가조야
- 자로문지희
- 재여주침
- 옹야01
- Today
- Total
목록05공야장公冶長27 (27)
논어 백독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자왈 “십실지읍, 필유충신여구자언 불여구지호학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열가호쯤 되는 조그만 마을에도, 반드시 나와 같이 충직하고 신의있는 사람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만큼 배우기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十室之邑십실지읍이란 열 가호 정도가 옹기종기 모여사는 작은 마을. 邑의 가장 작은 단위로 강조된 표현이다. 丘之好學구지호학, 丘구는 공자의 이름. 공자의 好學 공자가 제자들을 평한 마지막 장에서 자신을 평한 글이다. 우선 보편적인 가치로서 충과 신을 중시한 것을 본다. 삶의 근본이라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공자는 이를 넘는 또하나의 덕목으로 好學을 말하고 있다. 충직함만으로 인간됨이 완..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 而內自訟者也.” 자왈 “이의호! 오미견능견기과, 이내자송자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다 글렀구나! 나는 아직 자기의 허물을 보고서 마음으로 반성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已矣乎이의호; 그만 두자꾸나, 다 끝났구나 의 의미로, 크게 실망하는 표현 內自訟내자송; 마음속으로內 스스로自 잘못을 따지다訟, 마음속으로 자신을 허물하는 것.
顔淵·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子路曰 “願車馬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안연·계로시 자왈 “합각언이지?” 자로왈 “원차마의경구, 여붕우공, 폐지이무감.“ 안연왈 “원무벌선, 무시로.” 자로왈 “원문자지지.” 자왈 “로자안지, 붕우신지, 소자회지.” 안연과 계로가 공자를 모시고 있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각자 자기의 뜻을 말해보지 않겠느냐?” 자로가 말하였다. “수레와 말과 좋은 털가죽 옷을 벗들과 함께 나눠 쓰다가 그것들이 못쓰게 되더라도 유감스럽게 생각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합니다.” 안연이 말하였다. “잘하는 것을 자랑하지 않고, 공로를 과시함이 없도록 하고자 합니다.” 자로가 말하였다...
子曰 “巧言令色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자왈 “교언령색족공,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익원이우기인,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듣기 좋게 말을 꾸며 대고 보기 좋게 얼굴빛을 꾸미며 지나치게 공손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다고 하는데, 나도 또한 이를 부끄럽게 여긴다. 원한을 감추고 그 사람과 벗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겼다고 하는데, 나도 이를 부끄럽게 여긴다.” 족공足恭; 주희에따르면 足족은 過과의 뜻과 통하므로, 足恭이란 지나치게 공손함을 말한다. 익원이우기인匿怨而友其人; 원한을 숨기고匿怨, 그 사람과其人 벗하다友.
子曰 “孰謂微生高直? 或乞醯焉, 乞諸其隣而與之.” 자왈 “숙위미생고직? 혹걸혜언 걸제기린이여지.” 공자 말씀하시기를, “누가 미생을 고결하고 정직하다고 하는가? 어떤 사람이 초를 빌리면 그 이웃에 가서 그것을 빌려서 주는구나.”고 하셔다. 직直; 정직하다. 혜醯; 식초 孰謂微生高直숙위미생고직 -孰숙은 누구, 누가의 의문대명사이다. - 매생고는 노나라 사람으로 미생微生이 성이고 고高가 이름이다. 그는 논어 이외에 장자에서도 이름이 올릴 정도로 특이한 사람이었다. 그는 한 여인과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는데 비가 와서 하천 물이 급히 불었다. 이런 급한 상황에서도 약속을 지키기 위해 그 자리를 떠나지 않다가 물에 빠져 죽었다. 이로 인해 微生之信미생지신 이라는 고사가 생겼다. 사람으로 태어나서 믿음이 ..
子曰, “伯夷叔齊, 不念舊惡, 怨是用希.” 자왈, “백이숙제, 불념구악, 원시용희.” 공자 말씀하시기를, “백이와 숙제는 남의 지나간 악행을 생각하지 않는지라 원망하는 사람이 드물었다.”고 하셨다. 伯夷叔齊백이숙제; 백이와 숙제는 고죽국 시대의 왕자로 형과 동생 사이였다. 아버지가 둘째에게 애정이 많아 두 사람은 서로 왕위를 포기하고 나라를 떠났다 훗날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무너뜨리려 하자, 불의한 일이라 반대했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그들은 주나라에서 나는 곡물을 먹지 않겠다 결심한 뒤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먹으면서 연명하다 굶어 죽은 것으로 유명하다. 이로써 이들은 훗날 충신 열사를 지칭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준중받았고, 백이숙제, 고죽국, 수양산, 고사리는 동아시아 문화사에서..
子在陳, 曰 “歸與, 歸與!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자재진 왈 “귀여, 귀여! 오당지소자광간, 비연성장, 부지소이재지.”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실 때 말씀하셨다. “돌아가리라! 돌아가리라! 내 고향의 젊은이들은 뜻은 크지만 일에는 미숙하고, 훌륭한 기본은 갖추었지만 그것을 재량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吾黨오당; 나의 고장, 나의 고향 小子소자; 젊은 이들, 제자들 狂簡광간1; 광은 뜻이 큰 것을, 간은 일에 거칠고 미숙함을 의미한다. 즉 뜻은 크지만 실제 일을 하는데 아직 부족함이 많다는 말, 그러나 쉽사리 현실에 타협하지 않고 이상을 포기하지 않는 젊은이들이기에 공자는 다시 이들에게 돌아가겠다고 말하고 있다. 斐然비연; 무늬, 모습이 아름다운 모양 所以裁之소이재지; 일을 차근차근 ..
子曰,“甯武子, 邦有道則知, 邦無道則愚. 其知可及也 其愚 不可及也.” 자왈, “녕무자, 방유도칙지, 방무도칙우. 기지가급야, 기우불가급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영무자는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지혜롭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는 어리석었다. 그 지혜로움은 따를 수 있으나, 그 어리석음은 따르기 어렵다.” ☞ 甯武子영무자; 노나라 대부, 성은 계손, 이름은 행보, 무자는 시호이며, 이름은 유이다. 도가 없다는 것은 나라가 어지러운 것을 말하고, 도가 있다는 것은 나라가 다스려지는 것을 말한다. 방유도와 방무도의 시기에 대한 해석은 학자별로 분분하다. 도가 있을 때 지혜로운 것 또한 사람이 실천하기 어려운 것이기는 하나 오히려 미칠 수 잇는 것이다. 그러나 도가 없을 때 우직하게 실천하는 것은 충성심과 ..
季文子, 三思而後行. 子聞之曰, “再斯可矣.” 계문자, 삼사이후행. 자문지왈, “재사가의” 季文子계문자; 노나라 대부, 성은 계손, 이름은 행보, 문자는 시호이다. 斯사; 어조사, 여기서는 則과 같이 조건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계문자는 세 번 생각한 이후에야 행동을 하였다. 공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셔따. “두번이면 된다.” ☞ 신중함을 인정하지만, 행동에는 과감이나 결단도 필요할 수 있다. 비겁의 간접 표현이기도 하다. 두 번이면 족하다는 공자의 표현은 지나친 숙고는 오히려 사념이 일어나 도리어 미혹될 수 있음을 비판한 것이라 할 것이다.
子張問曰 “令尹子文, 三仕爲令尹 無喜色, 三已之 無慍色, 舊令尹之政, 必以告新令尹. 何如?” 子曰 “忠矣.” 曰 “仁矣乎?” 曰 “未知, 焉得仁?” “崔子弑齊君, 陳文子有馬十乘, 棄而違之. 至於他邦, 則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之一邦, 則又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何如?” 子曰 “淸矣.” 曰 “仁矣乎?” 曰 “未知, 焉得仁?” 자장문왈 “영윤자문, 삼사위령윤, 무희색 삼이지, 무온색 구령윤지정, 필이고신령윤. 하여?” 자왈 “충의” 왈 “인의호?” 왈 “미지, 언득인?” “최자시제군, 진문자유마십승, 기이위지. 지어타방, 칙왈 ‘유오대부최자야.’ 위지. 지일방, 칙우왈 ‘유오대부최자야,’ 위지. 하여?” 자왈 “청의.” 왈 “인의호?” 왈 “미지, 언득인?” 자장이 여쭈었다. “영윤인 자문은 ..
子曰 “臧文仲, 居蔡, 山節藻梲, 何如其知也?” 자왈 “장문중, 거채, 산절조절, 하여기지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장문중은 집에 큰 거북딱지를 걸어두고, 기둥머리 두공에는 산모양을 조각하고, 들보 위 동자기둥에는 수초모양을 그렸으니, 어찌 그를 지혜롭다 하겠는가? 臧文仲(장문중); 성은 장손, 이름은 진, 중은 자, 시호는 문. 노나라의 대부로 장공, 민공, 희공, 문공 4대에 걸쳐 50여년 노나라의 대부. 居蔡(거채); 큰 거북 껍질을 집에 둠. 채는 채지방 특산품인 큰 거북(1척 2치). 원래 천자만 종묘에 두고 대사 때 길흉을 점복했다. 그것을 대부인 장문중이 참월하게 자기 집에 두었던 것이다. 山節(산절); 절은 기둥머리 나무. 기둥머리 나무에 산 모양을 조각하다. 藻梲(조절); 藻조는 수초(..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자왈 “안평중선여인교, 구이경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평중은 사람과 잘 사귀는구나! 오래 사귈수록 오히려 공경하니.” 안평중은 공자시대 인물, 사마천의 사기열전에 제1이 백이, 다음이 관중과 안영을 다룬 관안열전이다. 오래 사귈수록 능히 공경할 수 있다는 것은 바로 그 사람이 훌륭한 까닭이다.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 자위자산, “유군자지도사언, 기행기야공, 기사상야경, 기양민야혜, 기사민야의.” 공자께서 자산을 평하시어 말씀하셨다. “군자의 도가 네 가지 있으니, 자기의 몸가짐이 공손하며, 윗사람을 섬김이 공경스러우며, 백성을 기름이 은혜로우며, 백성을 부림이 의로운 것이다.” 謂위; 평가한다. 行己행기; 자기를 행함, 자신의 처신이나 몸가짐, 일상적으로 행동할 때의 모습 事上사상; 윗사람을 섬김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자공문왈 “공문자하이위지문야?” 자왈 “민이호학, 불치하문, 시이위지문야. 孔文子공문자; 위나라 대부, 성은 공, 이름은 어圉, 시호는 문(文) 謂之文위지문; 그를之 문文이라 부른다謂. 그를 문文이라는 시호로 부른다. 敏而好學민이호학; 영민, 민첩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한다. 不恥下問불치하문; 아랫사람에게 묻기를下問 부끄러워하지 않는다.不恥 자공이 여쭈어 말씀드렸다. “공문자孔文子를 어찌 문(文)이라 시호하셨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영민한 사람인데도 배우기를 좋아하였으며,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이런 까닭으로 문이라 일컬은 것이다. 14장부터 24장까지는 당대 혹은 과거의 사회적 전범을 이룬 사람들..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자로유문, 미지능행, 유공유문.)자로는 좋은 가르침을 듣고 아직 미처 실천하지 못했으면, 행여 새로운 가르침을 듣게 될까 두려워했다.ㅇ 子路有聞자로유문; 자로는 들은 바(깨우쳐줌을 듣고)ㅇ未之能行미지능행; (미처) 그것을 행(실천)하지 못하면/ 之는 가르침ㅇ唯恐有聞유공유문; 오직 또 (다른 것을 ) 듣는 것(깨우쳐줌/ 좋은 말씀을 들음)이 있을까 두려워하였다.- 唯=惟, 오직, 다만, 이것. 恐공의 목적어는 유문有聞자로의 우직함과 진실함을 잘 드러내는 명구. 자로를 관찰해온 어떤 삶이 자료에 관한 평을 담아 놓은 것으로, 전에 들은 내용을 미처 실천하지 못하고, 다시 어떤 내용을 듣고 실천이 충분하지 못할까 걱정한 것이다. 자로는 강렬한 열정과 무서운 실천력을 소요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