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기언이신기행
- 시오어인야
- 자로문지희
- 무소취재
- 옹야
- 중궁문자상백자
- 맹무백문 자로인호
- 금오어인야
- 후생가외
- 언지래자불여금야
- 자왈 부지야
- 06옹야02
- 옹야가사남면
- 하감망화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 승부부우해
- 재여주침
- 청기언이관기행
- 가위효의
- 거경이행간
- 자왈도불행
- 문일지십
- 문일이지십
- 남면하다
- 종아자 기유여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옹야01
- 유야 호용과아
- 분토지장불가오야
- 후목 불가조야
- Today
- Total
논어 백독
<02爲政07>孝之養敬효지양경 본문
子游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자유문효; 자왈: “금지효자, 시위능양, 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경, 하이별호?”)
*
ㅇ子游問孝,子曰자유문효,자왈; 자유가 효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子游問孝, 子曰: 자유가 효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子游자유: 공자의 제자, 45세 아래, 성은 言, 이름은 偃언, 字는 子游자유. 吳오나라 사람으로 魯國노국에 벼슬하여 武城무성의 宰재가 됨. 언어와 문학에 뛰어나 子夏자하와 쌍벽을 이루며 文學科문학과에 속함.
ㅇ今之孝者,是謂能養금지효자,시위능양; 지금의 효라는 것은 能養(봉양을 잘 함)이라고 이를 수 있다.
-今之孝者,是謂能養(금지효자,시위능양): 요즘의 효는 단지 물질적으로 봉양하는 것이다.
-今之孝者금지효자: 오늘날의 효. 者는 음절조정 이기 고르는 어기조사.
-是謂시위; 이것의 말함이, 말함이다.
-能養능양; 잘 봉양(부양, 양육)하다. 의식주에 불편함이 없게 잘 돌봐드림.
-是謂能養: 단지 물질적 봉양을 말한다.; 是:단지, 養: 봉양하다. 먹여 살리다. 기르다.
ㅇ至於犬馬,皆能有養지어견마,개능유양; 犬馬에게도 모두 길러줌이 있으니
-至於犬馬, 皆能有養지어견마,개능유양
-至於犬馬지어견마; 至於지어: ~에 이르기까지도, ~이라할 지라도, ~까지도
-能有養능유양; 사람은 어버이뿐만이 아니라 개와 말까지도 음식을 주어 기른다.
ㅇ不敬,何以別乎불경,하이별호; 공경하지 않는다면, (부모를 봉양함과 견마를 기름이) 무엇이 다르겠는가?
-不敬, 何以別乎?불경,하이별호
-何~乎? 무엇으로(어찌) ~하겠는가(의문반어)
-공경하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02위정爲政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爲政09>回也不愚회야불우 (0) | 2012.06.01 |
---|---|
<02爲政08>孝之色難효지색난 (0) | 2012.06.01 |
<02爲政06>父母唯其疾之憂부모유기질지우 (0) | 2012.05.31 |
<02爲政05>孝之無違효지무위 (1) | 2012.05.31 |
<02爲政04>七十而從心所欲칠십이종심소욕 (0) | 201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