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무소취재
- 남면하다
- 청기언이신기행
- 자왈도불행
- 분토지장불가오야
- 자로문지희
- 중궁문자상백자
- 옹야01
- 금오어인야
- 가위효의
- 승부부우해
- 후목 불가조야
- 06옹야02
- 후생가외
- 재여주침
- 맹무백문 자로인호
- 종아자 기유여
- 하감망화
- 옹야
- 문일이지십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언지래자불여금야
- 자왈 부지야
- 청기언이관기행
- 문일지십
- 시오어인야
- 거경이행간
- 유야 호용과아
- 옹야가사남면
Archives
- Today
- Total
논어 백독
<14憲問04>子曰: 邦有道, 危言危行 자왈:방유도 위헌위행... 본문
子曰: “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孫.”
(자왈: “방유도, 위언위행; 방무도, 위행언손”)
*
ㅇ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邦有道(방유도); 나라에 道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ㅇ危言危行(위언위행); 말을 높게 하고, 행실을 높게 하며
-危(높을/위태할 위); 준엄함, 고결함, 홀로 곧음, 당당하고 대담함
ㅇ邦無道(방무도); 나라에 道가 없을 때에는
ㅇ危行言孫(위행언손); 행실은 높게 하되, 말은 공손하게 해야 한다.
-孫(손자/겸손 손)=遜(겸손할 손), 공손한 것. =遜(겸손할 손)
선인이 집권하여 덕치를 베풀며 나라의 기강이 바로 잡혀 있을 때에는 선비는 행동과 말을 峻嚴준엄하고 大膽대담하게 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선비의 直言직언과 批判비판이 용남된고 또한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악인들이 權座권좌에 오르고 腐敗부패와 謀略모략이 판을 칠 때에는 선비는 몸가짐을 高潔고결(高尙고상)하게 하여 홀로 정직하게 하며 악과의 野合야합을 피해야 한다.
그러나 말은 늘 삼가며 조심해야 한다. 왜나하면 악인의 모함에 의해 災殃재앙을 입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道도가 행해질 때와 행해지지 않을 때를 가려서 태도를 달리하라는 선비에 대한 공자의 충고이다.
'14헌문憲問46'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憲問06>南宮适問於孔子曰: 羿善射, 奡盪舟 남궁괄문어공자왈:예선사,오탕주... (1) | 2025.02.05 |
---|---|
<14憲問05>子曰: 有德者必有言, 有言者不必有德...자왈:유덕자필유언,유언지불필유덕... (0) | 2025.02.05 |
<14憲問03>子曰: “士而懷居, 不足以爲士矣.”자왈:사이회거,부족이위사의 (0) | 2025.02.04 |
<14憲問02>克伐怨欲 不行焉, 可以爲仁矣 극벌원욕 불행언 가이위인의... (0) | 2025.02.04 |
<14憲問01>憲問恥,子曰: 邦有道, 穀...헌문치,자왈:방유도,곡...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