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옹야01
- 후생가외
- 중궁문자상백자
- 시오어인야
- 분토지장불가오야
- 금오어인야
- 자로문지희
- 종아자 기유여
- 거경이행간
- 가위효의
- 유야 호용과아
- 자왈도불행
- 무소취재
- 후목 불가조야
- 언지래자불여금야
- 하감망화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재여주침
- 남면하다
- 06옹야02
- 문일이지십
- 청기언이신기행
- 옹야가사남면
- 청기언이관기행
- 옹야
- 자왈 부지야
- 승부부우해
- 문일지십
- 맹무백문 자로인호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Archives
- Today
- Total
논어 백독
<10鄕黨11>問人於他邦, 再拜而送之 문인어타방 재배이송지... 본문
問人於他邦, 再拜而送之. 康子饋藥, 拜而受之, 曰: “丘未達, 不敢嘗.”
(문인어타방, 재배이송지. 강자궤약, 배이수지, 왈: “구미달, 불감상.”)
*
ㅇ問人於他邦(문인어타방); 사람을 다른 나라에 보내어 문안을 드리실 때에는
-問人於他邦; 사람을 다른 나라에 있는 사람(친지)에게 보내어 안부를 묻다.
-問人문인; 사람을 보내어 문안드리다. 사람을 보내어 안부를 묻다.
ㅇ再拜而送之(재배이송지); 그에게 두 번 절하고 보내셨다.
-再拜재배; 두 번 무릎꿇고 절함./ 一拜는 산사람에게, 再拜는 의부, 스승, 의형제에게. 여기서는 아마 보내는 사람에게 특별한 예절을 갖춤.
ㅇ康子饋藥(강자궤약); 계강자가 약을 보내오자
-康子; 魯나라 대부인 季康子(爲政20 참고)
-饋(줄 궤); 음식이나 물건을 보내다
ㅇ拜而受之,曰(배이수지,왈); 절을 하고 받으시면서 말씀하셨다.
ㅇ丘未達,不敢嘗(구미달,불감상); 제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감히 맛보지는 못했습니다.
-嘗(맛볼 상)
*
ㅇ무슨 약인지 모르면 감히 맛보지 않으니 쓸모없게 될 것을 염려하여 한 말임.
ㅇ(范祖禹)무릇 음식을 주면 반드시 맛보고 절하는데, 약은 성분을 모르면 맛볼 수 없고, 받고 안 먹으면 헛되게 되므로 이렇게 말씀하신 것이다. 마실 수 있으면 마시고 마실 수 없으면 마시지 않는 것이 모두 이 가운데 있다.
ㅇ앞 절은 궁자께서 남들과 교제할 때의 誠意를 기록한 것이다.
'10향당鄕黨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鄕黨13>君賜食, 必正席先嘗之 군사식 필정선상지... (0) | 2025.01.19 |
---|---|
<10鄕黨12>廏焚, 子退朝, 曰: 傷人乎? 구분 자퇴조 왈" 상인호... (0) | 2025.01.19 |
<10鄕黨10>鄕人飮酒, 杖者出, 斯出矣 향인음주 장자출 사출의... (1) | 2025.01.19 |
<10鄕黨09>席不正, 不坐 석부정 부좌 (0) | 2025.01.19 |
<10鄕黨08>食不厭精사불염정 (4)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