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승부부우해
- 옹야가사남면
- 옹야
- 자로문지희
- 언지래자불여금야
- 유야 호용과아
- 자왈 부지야
- 문일지십
- 문일이지십
- 자왈도불행
- 후생가외
- 하감망화
- 가위효의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 종아자 기유여
- 금오어인야
- 청기언이관기행
- 무소취재
- 시오어인야
- 06옹야02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옹야01
- 재여주침
- 중궁문자상백자
- 후목 불가조야
- 분토지장불가오야
- 맹무백문 자로인호
- 청기언이신기행
- 거경이행간
- 남면하다
Archives
- Today
- Total
논어 백독
05公冶長25_願無伐善원무벌선 본문
顔淵·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子路曰 “願車馬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안연·계로시 자왈 “합각언이지?” 자로왈 “원차마의경구, 여붕우공, 폐지이무감.“
안연왈 “원무벌선, 무시로.” 자로왈 “원문자지지.” 자왈 “로자안지, 붕우신지, 소자회지.”
안연과 계로가 공자를 모시고 있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각자 자기의 뜻을 말해보지 않겠느냐?”
자로가 말하였다. “수레와 말과 좋은 털가죽 옷을 벗들과 함께 나눠 쓰다가 그것들이 못쓰게 되더라도 유감스럽게 생각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합니다.”
안연이 말하였다. “잘하는 것을 자랑하지 않고, 공로를 과시함이 없도록 하고자 합니다.”
자로가 말하였다. “선생님의 뜻을 듣고 싶습니다.”
공자 말씀하셨다. “노인을 편안하게 해 주고, 벗들은 신의를 갖도록 해주고, 젊은이들은 감싸 보살펴 주고자 한다.”
시侍; 윗사람을 곁에서 모시다.
합盍; 어찌 ~하지 않즌가(何不하불)
이지爾志; 너의 뜻, 너의 포부
여붕우공與朋友共; 벗들과 함께 사용하다. 벗들과 공유하다.
폐지이무감敝之而無憾; 그것을 못쓰개 만들어도敝之 아까워하거나 원망하는 감정이 없다無憾
벌선伐善; 자신이 잘한 일 또는 자신의 장점(善)을 자랑하다.伐
시로施勞; 자신의 공을 과시하다. 수고로운 일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다.
회懷; 감싸고 보살펴서 따르게 하다.
'05공야장公冶長27'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公冶長27_필유충신必有忠信 (0) | 2014.06.02 |
---|---|
05公冶長26_내자송자內自訟者 (0) | 2014.06.02 |
05公冶長24_巧言令色교언영색 (0) | 2014.06.02 |
05公冶長23_미생고직微生高直 (0) | 2014.06.02 |
05公冶長22_不念舊惡불념구악 (0) | 201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