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중궁문자상백자
- 맹무백문 자로인호
- 옹야가사남면
- 남면하다
- 자왈 부지야
- 가위효의
- 금오어인야
- 승부부우해
- 후목 불가조야
- 옹야
- 거경이행간
- 옹야01
- 청기언이관기행
- 06옹야02
- 청기언이신기행
- 후생가외
- 종아자 기유여
- 시오어인야
- 재여주침
- 자로문지희
- 하감망화
- 언지래자불여금야
- 분토지장불가오야
- 문일이지십
- 유야 호용과아
- 문일지십
- 자왈도불행
- 무소취재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Archives
- Today
- Total
논어 백독
<14憲問_45>長而無述焉 장이무술언 본문
原壤夷俟, 子曰: "幼而不孫弟, 長而無述焉, 老而不死, 是爲賊." 以杖叩其脛.
(원양이사, 자왈: "유이불손제, 장이무술언, 로이불사, 시위적." 이장고기경.)
*
ㅇ原壤夷俟원양이사; 원앙이 걸터 앉아서 기다리자
-原壤夷俟(원양이사): (공자께서 오랫만에 옛 친구 원양을 만났다.) 원양이 걸터 앉아서 (공자를) 기다리니
-原壤(원양):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와 잘 아는 사이였다. 원양이 모친상을 당했을 때 공자가 장례를 도와주고 있었는데 그는 오히려 관에 올라가 노래를 불렀다고 전한다. (『禮記(예기)·檀弓(단궁)』 참조.)
-夷俟이사; 걸터 앉아서 孔子를 맞이함을 이름. 古禮에는 걸터 앉는 것을 오만무례한 행동으로 보았으므로 공자가 꾸짖은 것이다./ 夷(걸터앉을 이), 俟(기다릴 사)
ㅇ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幼而不孫弟유이불손제; 어려서는 공손하지 않고,
-孫弟(손제): 다른 사람에게 겸손하고 윗사람에게 공경스럽다. 遜悌(손제)와 같다. 孫(공손할 손)
-(이 사람 예나 지금이나 여전하구려)
ㅇ長而無述焉장이무술언; 자라서는 이야기할 만한 업적이 없고
-長而無述焉(장이무술언): 자라서 이야기할 것이 없다. 업적이 없음을 말한다./
;述(말할/지을 술), 述술은 칭찬과 같다.
ㅇ老而不死로이불사; 늙어서는 죽지도 않고 있는 것이
ㅇ是爲賊시위적; 바로 적이다 하시고
ㅇ以杖叩其脛이장고기경; 지팡이로 그의 정강이를 치셨다.
-杖(지팡이 장), 叩(두드릴 고), 脛(정강이뼈 경)
-그로 하여금 걸터 앉지 않게 하려 함.
'14헌문憲問46'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憲問46>欲速成者욕속성자 (0) | 2025.02.12 |
---|---|
<14憲問44>子路問君子, 子曰: 자로문군자 자왈:... (0) | 2025.02.12 |
<14憲問43>子曰: "上好禮, 則民易使也." 자왈:상호례 즉민이사의 (0) | 2025.02.12 |
<14憲問42>子張曰: 『書』云: 高宗諒陰 자장왈:서운 고종량음... (0) | 2025.02.09 |
<14憲問41>子擊磬於衛,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 자격경어위,유하괴이과공씨지문자...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