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백독

<14憲問44>子路問君子, 子曰: 자로문군자 자왈:... 본문

14헌문憲問46

<14憲問44>子路問君子, 子曰: 자로문군자 자왈:...

haagam3 2025. 2. 12. 16:12

子路問君子, 子曰: "修己以敬." : "如斯而已乎?" : "修己以安人." : "如斯而已乎?" : "修己以安百姓. 修己以安百姓, 堯舜其猶病諸!"

(자로문군자, 자왈: "수기이경." 왈: "여사이이호?" 왈: "수기이안인." 왈: "여사이이호?" 왈: "수기이안백성. 수기이안백성, 요순기유병제!")

*

ㅇ子路問君子자로문군자; 자로가 군자에 관해 여쭈었다.

 

ㅇ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修己以敬수기이경; 敬으로써 몸을 닦는 것이다.

 

ㅇ曰; 다시 여쭈었다.

 

ㅇ如斯而已乎여사이이호? 이와 같을 뿐입니까

-如斯而已乎(여사이이호): 이와 같을 뿐인가.

-斯(사): 이, 이것. 此(차)와 같다.

-而已(이이): ~일 뿐이다.

; 有婦人焉, 九人而已.(유부인언, 구인이이.) 이 가운데 부인이 끼여 있었으니 이를 빼면 아홉 명뿐이었다. 『論語(논어)·泰伯(태백) 20』

 

ㅇ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修己以安人수기이안인; 자기 자신을 닦아서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해 주는 것이다.

 

ㅇ曰: 다시 물었다.

 

ㅇ如斯而已乎여시이이호? 이와 같을 뿐입니까?

 

ㅇ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修己以安百姓수기이안백성; 자기 자신을 닦아서 백성을 평안하게 해 주는 것이다.

 

ㅇ修己以安百姓수기이안백성; 자기 자신을 닦아서 백성을 평안하게 해 주는 것은

 

ㅇ堯舜其猶病諸요순기유병제; 요임금과 순임금도 아마 오히려 힘들어했으리라.

-堯舜其猶病諸(요순기유병제): 요순도 아마 오히려 그것을 힘들어했으리라.

-其(기): 아마. 추측을 표시하는 부사.

;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효제라는 것은 바로 인의 근본이리라! 『論語(논어)·學而(학이) 2』

-病(병): 부족하다, 어려워하다, 힘들어하다.

-諸(제): 之乎(지호)와 같으며 之(지)는 修己以安百姓(수기이안백성)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