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백독

<14憲問28>子曰: 君子恥其言而過其行. 자왈:군자치기언이과기행 본문

14헌문憲問46

<14憲問28>子曰: 君子恥其言而過其行. 자왈:군자치기언이과기행

haagam3 2025. 2. 7. 06:49

子曰: "君子恥其言而過其行."

(자왈: "군자치기언이과기행.")

*

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恥其言 而過其行(군자치기언이과기행); 군자는 말을 부끄러워하고(조심하고) 행실을 말보다 더한다.

-(): 형용사가 의동사로 전용된 것.

-(): 구조조사 ()와 마찬가지로 주어와 술어 사이에 쓰여 주술 구조로 하여금 독립성을 잃고 명사구 또는 절이 되게 하거나 앞의 말이 관형어임을 표시한다.

;德之流行, 速於置郵傳命.(덕지류행, 속어치우이전명.) 덕의 유행이 역말의 명령 전달보다 빠르다. 孟子(맹자公孫丑(공손축) ()

;虞之與虢, 相恃而勢.(우지여괵, 상시이세.) 우는 괵과 서로 의지하는 세력이다. 淮南子(회남자人間訓(인간훈)

 

(解2)恥其言而過其行(치기언이과기행): 자신의 말이 자신의 행동을 지나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