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백독

<10鄕黨06>君子不以紺緅飾 군자불이감추식... 본문

10향당鄕黨24

<10鄕黨06>君子不以紺緅飾 군자불이감추식...

haagam3 2025. 1. 16. 20:33

君子不以紺緅飾, 紅紫不以爲褻服. 當署袗絺綌, 必表而出之. 緇衣, 羔裘; 素衣, 麑裘; 黃衣, 狐裘. 褻裘長, 短右袂必有寢衣, 長一身有半. 狐貉之厚以居. 去喪, 無所不佩. 非帷裳, 必殺之. 羔裘玄冠不以弔. 吉月, 必朝服而朝.

(군자불이감추식, 홍자불이위설복. 당서진치격, 필표이출지. 치의, 고구; 소의, 예구; 황의, 호구. 설구장, 단우예. 필유침의, 장일신유반. 호학지후이거. 거상, 무소불폐. 비유상, 필쇄지. 고구현관불이조. 길월, 필조복이조. )

*

ㅇ君子不以紺緅飾(군자불이감추식); 공자께서는 짙은 보라색과 주홍색으로 옷깃을 달지 않으셨고

-(아청 감); 짙은 보라색/ (붉을 추); 주홍색/ (선 두를 식); 장식하다, 옷깃을 달다.

-은 제사 시에 목욕 齋戒재계 후 입는 옷 색이고, 는 상복 가장자리 선 색이어서 피함.

 

ㅇ紅紫不以爲褻服(홍자불이위설복); 붉은색과 자주색으로는 평상복을 만들지 않으셨다.

-紅紫홍자; 紅붉은색과 紫자주색 옷. 여자들의 옷 색깔과 비슷하여 평상복으로 이 색의 옷을 평상복으로 쓰지 않음.

-褻服설복; 평상복/ (평상복 설)

 

ㅇ當署,袗絺綌(당서진치격); 더운 계절에는 고운 갈포나 굵은 葛布갈포로 만든 홑옷을 입으시되

-當署; 더위를 당하여, 더운 계절에

-(홑옷 진), (고운 칡포/갈포 치), (거친/굵은 갈포 격)

 

ㅇ必表而出之(필표이출지); 반드시 안에 옷을 받치시고 그 위에 입으신 후 외출하셨다.

-(겉옷을 입다)

-갈포의 홑옷은 속살이 보이므로, 외출할 때에는 내의(속옷)을 받쳐 입고 겉에 갈포옷을 입고 나갔다는 뜻.

 

ㅇ緇衣,羔裘(치의,고구); 검은 옷에는, 검은 양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으시고,

-(검을 치); 검은 비단, 緇衣(치의); 검정 옷.

-(새끼 양/염소 고), (갖옷/ 가죽옷 구), 羔裘고구; 짐승의 모피로 만든 옷. 갖옷

-緇衣羔裘치의고구; 검정 옷엔 염소(검은) 갖옷을 입다. 옷의 색을 맞추기 위함.

 

ㅇ素衣,麑裘(소의,예구); 흰 옷에는 새끼 사슴의 털가죽으로 만든 흰옷을 입으셨으며

-(흴 소); 희다

-(새끼사슴/고라니 예), (갖옷/가죽옷 구); 새끼 사슴의 털 색이 흰 색이므로 역시 옷 색에 맞춰 입음.

 

ㅇ黃衣,狐裘(황의,호구); 누런 옷에는 여우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으셨다.

-(여우 호), (갖옷/ 가죽옷 구)

 

ㅇ褻裘長,短右袂(설구장,단우몌); 평상시에 입는 갖옷은 길게 하되, 행동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오른 소매를 조금 짧게 하셨다.

-(; 평상복 설), (갖옷/ 가죽옷 구), 褻裘(설구); 평상시 입는 갖옷

-(소매 몌), 短右袂단우몌; 오른 편 소매가 짧다.(일하기 편하기 위함)

 

ㅇ必有寢衣,長一身有半(필유침의,장일신유반); 반드시 잠자리 옷이 있으셨는데, 길이는 키의 한 배 반이었다.

-寢衣; 잠옷(잠자리 옷), 보온 효과를 높이기 위함.

ㅇ狐貉之厚以居(호학지후이거); 여우와 담비의 두터운 털가죽을 두툼하게 깔고 지내셨다.

-(여우 호), (담비 학), 居(거; 앉다, 지내다.)

 

ㅇ去喪,無所不(거상,무소불패); 脫喪한 뒤에는, 佩玉패옥을 가리지 않고 차셨다.

-(찰 패); 패옥을 차다. 패용(佩用), 패도(佩刀), 패검(佩劍), 옥패(玉佩)

-(禮記)군자는 緣故(=喪)가 없으면 玉을 몸에서 버리지 않으니, 뿔송곳, 숫돌 등도 모두 장신구이다.

 

ㅇ非帷裳,必殺之(비유상,필쇄지); 朝服조복이나 祭服제복이 아니면, 반드시 폭을 줄여서 입으셨다.

-朝服이나 祭服이 아니면, 반드시 폭을 줄여서 입으셨다.

-帷裳유상; 조정에 나갈 때 입는 朝服조복이나, 祭司 지낼 때 입는 制服제복 등 공식적인 예를 갖추는 옷. (휘장 유), (치마 상)

-殺之쇄지; 천을 몸길이에 맞도록 잘라 꿰매는 것.(옷을 줄여 간편하게 함)

-; 폭을 줄이다.

1)죽일 살; 살생(殺生), 살상(殺傷), 살인(殺人), 살균(殺菌), 교살(絞殺), 살육(殺戮), 살충(殺蟲), 살충제(殺蟲劑), 암살(暗殺), 살생유택(殺生有擇)

2)감할/덜 쇄; 상쇄(相殺), 감쇄(減殺)

3)심할/빠를 쇄; 쇄도(殺到), 뇌쇄(惱殺)

 

ㅇ羔裘玄冠不以弔(고구현관불이조); 검은 털가죽 옷과 검은 관을 쓰시고는 조문을 하지 않으셨다.

-(새끼 양/염소 고), (갖옷/ 가죽옷 구), 羔裘(고구); 염소 모피로 만든 갖옷, 검은 옷

-玄冠현관; 검은 비단으로 만든 관.

-당시 검은 색은 길복(吉服)이고, 흰 색은 상복(喪服)으로, 초상(初喪)에는 흰 것을 주장하고, 길사(吉事)는 검은 것을 주장하니, 조문(弔問)에는 반드시 옷을 바꾸어 입어 죽은 이를 슬퍼함이다.

ㅇ吉月,必朝服而朝(길월,필조복이조); 매달 초하루에는 반드시 朝服을 입고 조정에 들어가셨다.

-吉月; 매달 초하루. 공자가 벼슬을 사양하고 노나라 계실 때 이같이 하심.

 

-이 장은 공자의 복장(의복 제도)에 대해 상세히 기술함. 향당(鄕黨)은 공자의 가르침보다 객관적인 거동을 기록함. 그래서 자(子)라 하지 않고, 군자(君子)로 표기하여 더욱 객관화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