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시오어인야
- 06옹야02
- 종아자 기유여
- 중궁문자상백자
- 문일이지십
- 자로문지희
- 청기언이신기행
- 거경이행간
- 옹야
- 유야 호용과아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 승부부우해
- 청기언이관기행
- 후생가외
- 무소취재
- 가위효의
- 재여주침
- 옹야가사남면
- 남면하다
- 하감망화
- 언지래자불여금야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분토지장불가오야
- 문일지십
- 자왈도불행
- 맹무백문 자로인호
- 후목 불가조야
- 금오어인야
- 자왈 부지야
- 옹야01
Archives
- Today
- Total
논어 백독
<14憲問35>或曰: "以德報怨, 何如?" 혹왈:이덕보은 하여... 본문
或曰: "以德報怨, 何如?" 子曰: "何以報德? 以直報怨, 以德報德."
(혹왈: "이덕보원, 하여?" 자왈: "하이보덕? 이직보원, 이덕보덕.")
*
ㅇ或曰혹왈: 어떤 사람이 말했다.
ㅇ以德報怨,何如이덕보원,하여? 은덕으로 원한을 보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何如; 어떠하겠는가? 어떻겠습니까?
ㅇ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何以報德하이보덕; (그렇게 한다면) 무엇으로 은덕에 보답하겠느냐?
ㅇ以直報怨이직보원; 정직함으로 원수에 보답하고
ㅇ以德報德이덕보덕; 은덕으로 은덕에 보답하는 것이다.
*
ㅇ은덕도 은덕으로 갚고 원수도 은덕으로 갚는 것은 형평이 맞지 않으며, 원한이 사무쳐서 과도하게 보복을 하는 것도 좋지 않다. 그러므로 자기가 당한 것만큼만 보복하도록 해야 한다.
'14헌문憲問46'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憲問37>公伯寮愬子路於季孫, 子服景伯以告공백료소자로어계손, 자복경복이고... (0) | 2025.02.08 |
---|---|
<14憲問_36>子曰: "莫我知也夫!" 子貢曰: 자왈:막아지야부.자공왈:... (0) | 2025.02.07 |
<14憲問34>子曰: "驥不稱其力, 稱其德也." 자왈:기불칭기력 칭기덕야 (0) | 2025.02.07 |
<14憲問33>微生畝謂孔子曰: 丘何爲是栖栖者與 미생구위공자왈: 구하위시서서자여? (0) | 2025.02.07 |
<14憲問32>子曰: 不逆詐, 不億不信 자왈:불역사 불억불신...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