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옹야
- 청기언이신기행
- 재여주침
- 시오어인야
- 남면하다
- 청기언이관기행
- 유야 호용과아
- 자왈도불행
- 맹무백문 자로인호
- 자왈 부지야
- 문일지십
- 후생가외
- 종아자 기유여
- 무소취재
- 금오어인야
- 거경이행간
- 문일이지십
- 중궁문자상백자
- 후목 불가조야
- 승부부우해
- 분토지장불가오야
- 옹야가사남면
- 자로문지희
- 가위효의
- 06옹야02
- 언지래자불여금야
- 하감망화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옹야01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Archives
- Today
- Total
논어 백독
<14憲問31>子曰: 不患人之不己知 자왈:불환인지불기지... 본문
子曰: "不患人之不己知, 患其不能也."
(자왈: "불환인지부기지, 환기불능야.")
*
ㅇ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不患人之不己知(불환인지부기지);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학이편 16」 참조.
ㅇ患其不能也(환기불능야); 자신의 능하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其(그 기):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인칭대사.
-也(어조사 야): 명령의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조사.
;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불환인지불기지, 환불지인야.)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기가 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하여라. 『論語(논어)·學而(학이) 16』
-자신의 능력이 없음을 걱정해야 한다.
*
(유사 구절)
1)학이16)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근심치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근심하라
2)이인14) 지위가 없는 것을 근심하지 말고, 설 곳을(그 자리에 설 능력이 있는지를) 근심하라.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근심하지 말고, 남이 알아줄만한 사람이 되기를 추구해야 한다.
3)위령공18) 군자는 자기의 능력이 없음을 근심하고,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근심하지 않는다.
-군자는 자신의 내적 충실을 위해 쉬지 않고 노력해야 한다. 이런 참된 마음의 자기계발은 오래지 않아 사회의 인정을 받게 된다. 내가 유능하기만 하면 세상은 나를 가만히 놓아두지 않을 것이다.
'14헌문憲問46'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憲問33>微生畝謂孔子曰: 丘何爲是栖栖者與 미생구위공자왈: 구하위시서서자여? (0) | 2025.02.07 |
---|---|
<14憲問32>子曰: 不逆詐, 不億不信 자왈:불역사 불억불신... (0) | 2025.02.07 |
<14憲問30>子貢方人, 子曰: 賜也賢乎哉 자공방인 자왈:사야현호재... (0) | 2025.02.07 |
<14憲問29>子曰: 君子道者三, 我無能焉 자왈:군자도자삼 아무능언... (0) | 2025.02.07 |
<14憲問28>子曰: 君子恥其言而過其行. 자왈:군자치기언이과기행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