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 06옹야02
- 분토지장불가오야
- 자왈도불행
- 남면하다
- 옹야01
- 유야 호용과아
- 자로문지희
- 청기언이관기행
- 문일이지십
- 무소취재
- 옹야가사남면
- 가위효의
- 후생가외
- 금오어인야
- 후목 불가조야
- 승부부우해
- 자왈 부지야
- 재여주침
- 옹야
- 하감망화
- 시오어인야
- 혹왈 옹야 인이불녕
- 종아자 기유여
- 중궁문자상백자
- 청기언이신기행
- 언지래자불여금야
- 문일지십
- 맹무백문 자로인호
- 거경이행간
Archives
- Today
- Total
논어 백독
<11先進20>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자왈:논독시여 군자자호... 본문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자왈: “논독시여, 군자자호, 색장자호?)”
*
ㅇ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ㅇ論篤是與(논독시여); 말하는 것이 미덥다고 해서 그를 인정해 준다면
-말하는 것이 미덥다고 해서 그를 인정해 준다면
-論篤是與; 언론이 독실함을 찬양하다.
-論篤; 말이 독실하다. 주장이 믿을 만하다. 말이 조리가 있어 빈틈이 없고 그럴듯하다.
-是; 강조하기 위해 목적어를 동사 앞에 놓을 경우 목적어와 동사 사이에 쓰는 구조조사. 之와 같다.
-與; 원래 ‘함께 하다’. 여기서는 ‘편들다. 찬양하다.’ 편들다. 인정하다.
-어떤 인물을 평할 때 그 사람이 겉으로 드러나는 논조가 독실한 것만 보고 좋다고 칭찬하고 편을 드는데, 말이 독실한 자를 인정하고 칭찬하는데
ㅇ君子者乎(군자자호); 그가 군자다운 사람이라는 것이냐?
-君子가 ‘군자답다’의 형용사가 되어 者를 수식함.
-군자다운 사람인가
ㅇ色莊者乎(색장자호): 겉모습만 그럴듯한 사람이라는 것이냐?
-色莊색장: 낯빛이 엄숙하다. 겉모습이 그럴듯하다.
*
-말만 잘하는 사람에 대한 공자의 비판적 태도 서술됨(공야장10, 학이3, 선진25 등)
-말과 외모로 사람을 취해서는 안됨을 말씀하심.
'11선진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先進22>子畏於匡, 顔淵後 자외어광 안연후... (0) | 2025.01.21 |
---|---|
<11先進21>子路問: “聞斯行諸?” 子曰 자로문:이사행저... (0) | 2025.01.21 |
<11先進19>子張問善人之道, 子曰: 자장문선인지도,자왈... (0) | 2025.01.21 |
<11先進18>子曰: 回也其庶乎, 屢空 자왈:회야기서호... (0) | 2025.01.21 |
<11先進17>柴也愚, 參也魯 시야우, 삼야노... (0) | 2025.01.21 |